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그들과 달랐다. - 아이연맨
본문 바로가기

북 리뷰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그들과 달랐다. - 아이연맨

반응형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그들과 달랐다. - 아이연맨



 "입양인으로 사는 것은 일시적인 경험이 아니라 생애 전반에 걸친 문제니까요."

 '전 세계 해외입양 아동 수의 약 40%가 한국 출신이며, 세계로 입양된 아동들은 특히 청소년기에, 태어난 국가와 자라난 국가의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한다. '우연한 기사' (오마이뉴스 "전 세계 해외입양아동의 40%가 우리나라 아동" 2017. 10.23) 에서 접하게 된 해외입양에 대한 문제는 저희에게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아이연맨

 각자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온 '아이연맨' 그렇게 세 사람은 아이언맨이라는 히어로의 모습처럼 생애 전반에 걸쳐 구조를 요청하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들어주었다. 냇가에 작은 송사리 한마리가 휙 하고 튀어오르는 것처럼 작은 움직임이지만, 누군가는 그 움직임을 보고 어떠한 감정을 느꼈으리라, 마치 이 글을 적고 있는 나 처럼 말이다.

 나 또한 해외입양아에 영상을 찾아 보았다. 해외 입양아 모임에서 한식을 만들어 먹는 장면이였다. 동질감과 유대감이 생겨서 인지 함께 있는 그들의 모습은 매우 편안하고 즐거워보였다. 그러던 중 한 사람이, "창피하지만, 저는 정신과 상담을 받았어요." 라고 말했다.다른 한 사람이 너무 당연한듯 "괜찮아요. 그건 필수 사항인걸요." 라고 편하게 웃으며 말하는 장면이 약간 충격적이였다. 피부색이 다른 부모를 만난 입양인 중 70%는 정신과 상담을 받는다고한다. 아주 자연스럽게대답하는 모습이 놀랐으리라...

 모임 중 성장하면서 친 자식과의 차별과 학대, 폭행 등 문제에 노출된 사람도 있었다. 또한 어떤 사람은 온전한 가정에 입양된다고 해도, 만약 입양되지 않았다면, 한국에서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고 평생 미움받고, 차별 받았으면서 살았을 것이라고 사람들에게 듣는 것이 성장 과정에서 큰 트라우마로 작용했다고 한다. 왜 내 나라가, 내 부모가 나를 책임질 수 없었을까? 라고 수 없이 되뇌이는 것. 온전한 지지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1970년대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아이가 온전히 감내하기는 어려웠을 것 같다.

 "뭔가 두려움을 느끼면 건강한 아이들은 부모님께 도움을 청하고 부모님으로부터 자신감을 얻는데요. 나나 나와 같은 문제를 겪는 아이들은 두려우면 담요 속으로 숨어버리고 문제를 숨기려고 하는데 그게 나중에 인생을 사는데 문제가 됩니다."

 "한국에 대해 느끼는 우리의 감정은 정말 복잡해요. 한국을 사랑하고 싶지만, 그게 쉽지만은 않죠. 갓난아기 때 버려졌단 사실을 떠올리는 건 정말 끔직하고 고통스러운 일이에요."

 낯선 모국, 이방인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양인들은 한국을 방문하고 싶어한다. 고향에 오면 잃어버린 연결고리, 또는 퍼즐 조각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지만, 그들에겐 어떤한 정보도 남아있지 않다. 태어난 날, 진짜일지 모를 이름도 말이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DNA를 등록했지만, 친 가족들이 DNA를 등록하지 않는 한 찾을 수 없다.

 현재 국가가 아닌 민간기관에서 입양과정을 전담하고 있다. 입양관련 법률이 있지만 사실상 입양절차의 편의를 높이거나 입양기관이 수수료를 받는 근거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입양기관들이 국내 입양보다 비싼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해외 입양에 적극적이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아동의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격 발달을 위해 각국은 아동이 가족의 보호 아래 있도록 하는 조처를 최우선 해야 한다.' (헤이그 국제 아동협약) 국가간 입양에 관한 헤이그 협약엔 입양의 관리 주체가 <국가>로 규정되어 있다. 입양을 통한 금전적 이득을 규제하는 국제 협약이 있지만 대한민국은 관련 법 정비등을 이유로 아직 정식 가입 절차를 밟지 않고 있다. 민간 기관이 입양을 전담하면서 절차상 효율성이나 입양 부모의 만족도는 높아졌을 수 있겠지만, 입양의 당사자인 아동의 인권과 행복추구권은 보장 받지 못했다.

 1979년 미국에 도착한 한국인 입양아는 4천명이 넘었고, 최근까지도 입양아 10대 송출국에 꼽힌다. 해외 입양인 규모는 1970년대 정점을 찍었고, 보내진 아이들은 지금까지 최소 17만명이 넘는다. 입양인 10명 중 7명은 미국으로 보내졌다고 한다. 인터뷰 내용 중 안영근씨가 한 말이 기억에 남는다. "제가 그동안 친어머니의 희생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지 못한 것이 후회스럽습니다. 누군가가 당신을 대신해서 매우 어려운 일을 했고, 그로인해 당신에게 남은 것은 그 선택의 결과 뿐임을 알게 된다면, 여러분도 이상한 감정을 느낄 것입니다. 이 감정은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누군가를 슬퍼하는 것 만큼 감당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소속감과 정체성은 삶의 뿌리다. 자라는 동안 뿌리를 내리고 삶을 조금씩 모험한다. 그런데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누군가를 바라며 슬퍼하는 것 만큼 감당하기 힘든 것 모든 것은 대상이 있을 것인데 대상 없는 분노와 미움은 참 발신없는 편지 어두운 동굴의 메아리로만 들릴 것 같다. 인터뷰 집을 통해 해외 입양자들에 대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관련 자료를 찾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입양, 해외 입양이 어느 위치에 서 있는지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이 책은 입양관련 기관 및 총 8명의 한국인 입양인을 인터뷰한 인터뷰집입니다. 1월 11일부터 해당 계정프로필 링크로 @aiyeon_man 크라우딩 펀딩을 통한 인터뷰 집 <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그들과 달랐다. > 를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북퍼퓸 또한 함께 받아볼 수 있는데 종이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부항률이 적합한 오일과 비율로 조합해 만들었으며 책을 넘겼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는 오렌지계열의 상큼한 잔향이 좋았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