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매일 실패해도 함께 갈게 - 최지숙 김서현
본문 바로가기

북 리뷰

네가 매일 실패해도 함께 갈게 - 최지숙 김서현

반응형

 

네가 매일 실패해도 함께 갈게- 최지숙 김서현



 처음에 이 책을 받아 들었을 때는 아, 도전과 실패 속에 좌절을 경험하는 딸에게 주는 에세이 정도의 형식의 글인 줄 알았다. 하지만, 책 첫장부터 자신의 딸의 자살시도의 현장과 자신의 딸이 가지고 있었던 마음의 상태(병)을 아주 가감없이 묘사하고 고백하고 있었는데 그 글이 그냥 일종의 자기 고백이 아니라 자신과 딸의 생과 사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들고 있는 위태로운 생의 고백이였다.

 우울증, 내 마음의 병도 인지하기 어려운데, 타인의 마음의 병을 쉽사리 이해해주기란 쉽지 않다. 하물며 수다 자리에서 어쩌다 거론된 인물에게 '걘 진짜 정신병자 같아' 라고 아무렇지 않게 규정할 수 있는 것도 사실 너와 내가 다르다고 선을 그었기 떄문에 가능한 험담일 수 있다. 하지만 내가 진짜 그러한 상황에 당면하고 있거나, 그러한 환경에 오랫동안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었다면, 어떻게 행동할 수 있었을까 (...) 도덕과 윤리에 관련된 일종의 큰 사건이 아니라면, 우리 주변의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홀로 하고 있을친구에게 타인의 아픔을 한 줄로 규정하고 본인이 처방약을 지어줄 것이 아니라, 가만 친구가 놓인 상황을 짐짓 되짚어 공감해줄 수 밖에 없다.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것이 가족에게서 배우는 '모국어'이다. 여기서 말하는 모국어란, 대한민국 언어 '한글'이 아니라 엄마한테서 오는 모국어라고 말할 수 도 있을 것이다. 1차 집단인 가족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가족과의 연결고리, 유대감, 지지대는 마음의 무한한 안정감을 제공한다. 밖에서 실패하고 돌아와도, 우린 다시 돌아올 안락한 집이 있으니, 그 공간이 따뜻하고 언제나 회귀할 수 있다는 인정을 받는다면 우린, 무한히 넘어지고 다쳐도 괜찮을 것이다.

 이런 마음에 딸 '김서현' 양의 마음에 더 공감이 되었다. 이미 정상 범주에서 벗어나, "우울증, 양극성장애, 기타조현병, 공황장애" 와 같은 복잡한 스펙트럼 안에 있는 그녀, 이러한 불편한 상황 속 어긋난 주인공이 되어버린 서현 양의 마음또한 하루도 편한 날이 없을 것이다. 가족에게서도 인정 받지 못한다면 어디에서 인정 받을 수 있을 것인가(...) 책을 읽으며 어떤 마음이 충돌하여 자꾸 고통의 나락으로 자신을 하강하는지 그녀의 이야기도 궁금해졌다.

 가족들은 어디서부터 꼬였는지 편견 없이 딸, 언니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려는 자세를 가져야할 것이지만, 이런 평이한 글들은 가족들이 처해진 상황에서 큰 효력이 없을 것이다. 갑작스레 딸에게 찾아온 '우울증'이란 불청객을 마주했을 때, 엄마는 엄마의 삶도, 가족의 삶도, 딸의 삶도 모두 지키려 고군분투의 나날을 보내고 있을테니 말이다.

 "지금 딸이 겪은 고초가 행여 엄마의 모자람 때문은 아닌지, 저는 불현듯 죄인 아닌 죄인이 되고 맙니다." 늘 잘해주어도 모자란 부모의 심정을 헤아릴 길은 아직 부모가 되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서현양의 하루엔, 조금은 행복할 만한 느낌들을 찾고 그 느낌들 안에서 조금씩 자신에 대한 충만함을 찾기를 소원한다. 그녀에게 너무나 좋은 가족들이 있기에 말이다. - 어머니 최지숙 씨는 월간잡지 스크린의 기자로 활동했다. 그래서, 어머니의 자연스러운 필력에 놀랐다. 또한 글 중 자신과 딸이 좋아하는 영화를 상황에 빗대어 설명하는 부분들이 있어, 책을 읽는데 더욱 고개를 끄덕이며 읽을 수 있었다. (불량공주 모모코, 레이디버그, 알라딘, 이웃집토토로, 토이스토리4, 어벤져스, 버드박스, 그것, 마이너리리포트 등)

 자주 얼굴을 맞대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오히려 더욱 일상을 공유하지 못한 채 무심히 보내는 하루 하루가 너무 많다. "바닷가의 조약돌을 그토록 둥글고 예쁘게 만든 것은 무쇠로 된 정이 아니라, 부드럽게 쓰다듬는 물결이다." 라는 말을 마음에 새기면서, 모든 집에 늘 부드러운 물결과도 같은 파도로 서로를 둥글게 부딪혀 깎아 나갔으면 좋겠다.

반응형